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씨앗문장251

『중국 철학 우화』- 기울어진 그릇 이야기 『중국 철학 우화』- 기울어진 그릇 이야기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노나라 환공의 사당에 들렀을 때다. 사당의 그릇을 보니 기울어져 있어서 그것을 신기하게 여긴 공자가 사당지기에게 묻는다. '저것은 무슨 그릇이오?' 사당지기가 말하길, 환공이 생전에 늘 가까이 두고 좌우명으로 삼던 그릇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그릇이 어떤 용도인지 알아챈 공자는 제자에게 물 한바가지를 떠오게 하고, 그릇에 물을 부어 본다. 물이 반쯤 차자 그릇이 반듯하게 선다. 주둥이까지 물을 부으니 펑 소리를 내며 그릇이 뒤집힌다. 그 모습을 본 제자 자로가 스승 공자에게 '그릇'의 이치를 묻는다. 옮겨 놓은 글은 그에 대한 공자의 답이다. 지금이야 달리 생각하지만, 아니 적힌 그대로 훌륭한 이야기라고 생각하려고 하지만, 역시 마음 한구석에.. 2020. 1. 29.
질 들뢰즈, 『스피노자의 철학』- 도덕과 윤리의 차이 질 들뢰즈, 『스피노자의 철학』- 도덕과 윤리의 차이 스피노자적인 의미에서 '윤리학'과 '도덕'은 그렇게 다르다. 이 발상이 그를 17세기라는 한계를 넘어서게 한 것은 아닐까? 그건 그렇다치고, 도덕이 따로 있고, 윤리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그건 오히려 명제를 다루는 방식의 문제다. 심판의 도덕을 보증해 줄 '신'이 진짜로 있느냐 없느냐는 언제나 그래왔듯이 전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신'이 없다면 기꺼이 신을 만드는 것이 인간이니까.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어떤 정파의 입장에서 이른바 '비판'을 하거나, 무엇이든 간에 '대립'이 문제가 될 때 인간은 도덕적으로 단죄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그건 '절대적으로 나쁜 것'은 아니지만, 윤리적으로 보아 해로운 것임에는 틀림없다. 언제나.. 2020. 1. 20.
니체, 『아침놀』- 말에 걸려 넘어져 다리가 부러진다 니체, 『아침놀』- 말에 걸려 넘어져 다리가 부러진다 '말'은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되는 것이다. '나무'와 실제 나무 사이에는 아무런 필연성도 없다. 수없이 오랜 시간 동안 만들어진 말들이 쌓이고 쌓여서 지금의 '말'이 만들어진 셈이다. 재미있는 것은 처음에는 사람이 '말'을 만들었지만, 이제는 '말'이 사람을 만들게 되었다. 아프리카의 들판을 뛰어다니는 톰슨가젤은 자신의 이름이 '톰슨가젤'인지 모를 것이다. 그리고 자신을 만든 것이 '신'인지도 모르고, '신'에 대해 생각하지도 않겠지. 오직 인간만이 전지하고 전능한 어떤 것을 표시하기 위해 '신'이라는 말을 만들고, 그것을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결국엔 그 '신'이 인간을 만들었다는 이야기까지. 인간은 세계를 '말'을 통해 이해할 수밖에 없다... 2020. 1. 15.
니체X들뢰즈 - 신은 죽었고 매번 차이나는 것이 되돌아 온다 니체X들뢰즈 - 신은 죽었고 매번 차이나는 것이 되돌아 온다 인생의 그 어떤 순간도 동일하게 반복되지 않는다. 이 사실이 생生을 지탱하는 게 아닐까? 동일자가 매번 그대로, 동일하게 되돌아 온다면……, 지루해서 견디지 못할 것이다. 매번 동일하게 되돌아온 신이 죽어버린 것처럼. 여하간, 그렇게 다른 것들이 되돌아온다는 것은, 세계의 저변에 '생성'이 놓여있음을 반증한다. '희망'이 얼마나 허망한 것인지 잘 알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생성' 때문에 희망을 갖곤한다. 나 스스로가 (이전과) 차이나는 인간이 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그 변화가 원리적이라는 사실 때문이다. '희망'에 기대지 않고 '허무'에서 벗어나는 법을 알았더라면 더 좋았겠지만, 그건 차차 익혀가기로 하자. 들뢰즈가 만든.. 2019.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