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0217

어머니라는 ‘익숙함’ 김고연주, 『우리 엄마는 왜?』 어머니라는 ‘익숙함’김고연주, 『우리 엄마는 왜?』 필자의 말대학교를 졸업한 뒤 2015년 겨울부터 올해 봄까지 중학교 아이들과 인문학을 공부했다. 2년간 함께했던 아이들을 보내고 나니 문득 그 시간들을 이대로 흘려보내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에 그 간의 수업들을 가지고 이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러므로 이 글은 나만의 글이 아니다. 나의 목소리와 더불어 아이들의 목소리 역시 읽는 이들에게 닿을 수 있기를 간절히 소망한다. * 글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을 사용하였습니다. 0. 문탁네트워크에서 활동하는 사람들 중에는 기혼 여성이 상당히 많고 그분들 중 대부분은 아이가 있는 어머니들이다. 게다가 그 아이들 중 적지 않은 수가 문탁네트워크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다 보니 가끔은 나와 함께 공부를 하거나 여.. 2019. 2. 12.
조화와 중재의 별자리, 천칭자리 조화와 중재의 별자리, 천칭자리 3월 21일,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았다가 점점 낮이 길어지는 춘분에서 시작해서 지금까지 우리는 6개의 별자리를 여행했습니다. 자신을 강력하게 드러내며 탄생한 양자리, 물질을 확보하면서 자신을 확장시키는 황소자리, 다양한 사람들과 소통하며 자신의 생각을 만들어 가는 쌍둥이자리, 깊은 내면을 안정시키고 터전을 마련하는 게자리, 마음껏 자신을 표현하고 창작하는 사자자리, 조직과 더불어 자신을 성장시키는 처녀자리까지 6개의 개인적인 별자리를 통과해 왔습니다. 이제 다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추분부터 시작해서 밤이 길어지는 가을, 겨울 음기 에너지를 가진 사회적 별자리 6개를 지나가게 됩니다. 개인적 별자리에서는 내가 중심이지만, 사회적 별자리에서는 나와 남이 늘 함께 있습니다... 2019. 2. 11.
아내와 나 - 우리는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까? 우리는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까? 잘 모르는 누군가가 둘이 하나가 되는 것을 부부라고 한다며 가정의 달 중 하루인 5월 21일을 부부의 날로 만들어 놓았다. 과연 부부의 날의 취지처럼 아내와 나는 하나일까? 아니 하나가 될 수 있을까? 최근 2-3년 간 아내와 나의 일과를 대략적으로 정리해 보자. 나는 2월 중순부터 11월 말 까지 평일에는 새벽 여섯 시에 일어나 출근한다. 퇴근은 빠르면 오후 5-6시 늦으면 밤 11시. 수업 준비와 진행, 학생 상담의 쳇바퀴를 돈다. 주말은 9-10시 경 일어나 아점을 먹고 청소, 장보기, 아이와 놀기, 멍때리기를 한다. 아내의 일과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는 것 같다.(겹치지 않는 일상이 많기 때문에 그녀의 동선을 정확히 모른다!) 먼저 인문학 세미나, 마을 공유지.. 2019. 2. 8.
메이지 헌법의 구성과 신체성 - (2) 메이지 헌법의 구성과 신체성 - (2)​ 짐은 너희 군인의 대원수이다.그럴진대 짐은 너희를 고굉(股肱)으로 의지하고 너희는 짐을 우두머리(頭首)로 받들어야 할 것이며,그 친밀함은 특히 깊어야 할 것이다.─「군인칙유(軍人勅諭)」(1882) 군인칙유의 ‘우두머리’​앞서 대일본제국의 통치체제를 만든 메이지 헌법 속에 나타난 신체은유를 살펴보았다. 이번에는 헌법과 함께 당시 국가적인 것을 구성했던 핵심적 텍스트로서 「군인칙유」와 「교육칙어」를 같이 살펴보자. 메이지 헌법 속에서의 사지와 머리라는 발상은 이미 「군인칙유」에도 등장한다. 칙유가 나오게 된 직접적 요인은 홋카이도 개척사 관유물불하사건에 즈음하여 타니 칸죠(谷干城)를 비롯한 네 명의 장군이 반대 의견을 상주하는 등, 군대 내부까지 파급된 반정부운동을 .. 2019.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