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요와 불교산책

[요요와 불교산책] 두 번째 화살에 맞지 않으려면

by 북드라망 2022. 9. 16.

두 번째 화살에 맞지 않으려면


"번뇌의 화살을 뽑아 집착 없이 마음의 평안을 얻는다면 모든 슬픔을 뛰어 넘어 슬픔 없는 님으로 열반에 들 것입니다."
(『숫타니파타』 3품 8 『화살의 경』)


 
최근 나는 그 어느 때보다 삶이 고해(苦海)라는 것을 실감하며 살고 있다. 작년 가을, 긍정과 명랑의 아이콘이었던 어머니에게 갑자기 심각한 우울증이 왔다. 추운 겨울날 새벽 어머니는 자살충동을 느끼고 집을 나섰다. 천만 다행으로 길에 쓰러져 있던 어머니를 찾은 우리는 사태의 심각성을 느끼고 급히 어머니를 입원시켰다. 이번에는 치매가 진행 중이던 아버지에게 문제가 생겼다. 아버지는 무조건 어머니를 데려오라고 시도 때도 없이 고함을 지르고 화를 내며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갔다. 아버지도 입원해서 약물치료를 받아야했다.

퇴원한 날 어머니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낙상사고를 당해 고관절 수술을 받았다. 요양병원에 입원한 어머니와 집으로 돌아온 아버지의 몸과 마음은 여전히 불안했다. 살얼음을 딛는 것 같은 몇 개월을 보내고 이제 겨우 한숨 돌리나 했는데 얼마 전 어머니의 직장과 질 사이에 누공이 생긴 것을 알게 되었다. 망설이고 주저하다 수술을 결정했는데 수술 후 어머니는 컨디션 난조를 보이고 있다. 상황이 달라질 때마다 내 마음은 오르락내리락 롤러코스터를 탄다. 일희일비하지 않고 평정심을 유지하며 다가오는 일들에 대처하고 싶은데, 그것이 참, 쉽지 않다.

 
첫 번째 화살과 두 번째 화살
내 부모님이 그렇듯이 아무리 피하고 싶어도 생로병사의 사건들은 결국 닥쳐오고야 만다. 2500년 전 왕자로 태어난 고타마 싯다르타가 안락한 왕궁을 떠나 출가한 것도 늙고, 병들고, 죽는 사람들과 마주쳤기 때문이었다. 그 마주침을 통해 그는 삶이란 괴로움이고 그것은 누구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예리하게 직시했다. 고타마 싯다르타는 생사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찾아 수행자가 되었고 마침내 깨달은 자 붓다가 되어 고통이 종식되었음을 선언했다. 그가 성취한 괴로움의 종식이란 어떤 상태일까. 깨달은 자가 되면 어떤 고통도 느끼지 않는 것일까? 이 문제를 주제로 붓다 자신이 제자들에게 직접 질문을 던진 적이 있다.

수행승들이여, 일반 사람들은 즐거운 느낌도 느끼고, 괴로운 느낌도 느끼고,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도 느낀다. 수행승들이여, 지혜로운 사람들도 역시 즐거운 느낌도 느끼고, 괴로운 느낌도 느끼고,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도 느낀다. 수행승들이여, 그렇다면 일반 사람들과 지혜로운 사람들 사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쌍윳따니까야』 36:6, 『화살의 경』)


붓다에 따르면 깨달은 자도 보통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즐거운 느낌과 괴로운 느낌을 느낀다. 느낌이란 무엇일까? 신경생물학자 안토니오 다마지오는 『스피노자의 뇌』에서 느낌이란 우리 신경계의 자동적 항상성 조절 기제라고 설명한다. 그는 느낌을 좀 더 세분하여 정서와 느낌의 두 가지로 구분한다. 그에 따르면 정서는 신경계의 작용인 신체적 표상이고, 느낌은 신체적 표상(정서)에 대응하는 심적 표상이다. 즉 느낌은 특정한 신체상태에 대한 관념 혹은 지각이다.

우리는 붓다가 말하는 느낌을 안토니오 다마지오가 정의하는 정서와 느낌을 통칭한 것이라고 이해해도 크게 어긋나지 않을 것 같다. 즐거운 느낌이든 괴로운 느낌이든 그 기반은 외부와 접촉하면서 생겨나는 몸의 반응과 그것에 대한 심적 표상이다. 신체의 상태에 따라 우리는 즐거운 느낌을 갖거나 괴로운 느낌을 갖게 된다. 몸에 열이 나면 괴로운 느낌을 갖게 되고, 열이 떨어지면 즐거운 느낌을 갖게 된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면 즐거운 느낌이 일어나고,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면 괴로운 느낌이 일어난다. 그러니 보통사람이든 붓다든 자기 신체 상태에 대한 지각으로서 느낌을 갖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그런데 비록 느낌을 갖는다는 점에서는 같지만, 느낌이 일어날 때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는가는 완전히 다르다.

 

일반 사람들은 괴로운 느낌에 접촉하면 슬퍼하고, 비탄하고, 비통해 하고, 가슴을 치며 울고, 착란에 빠진다. 그들은 두 가지 종류의 고통, 즉 신체적인 고통과 정신적인 고통을 느낀다.(…) 지혜로운 사람은 괴로운 느낌에 접촉하면 슬퍼하지 않고, 비탄하지 않고, 비통해하지 않고, 가슴을 치며 울지 않고, 착란에 빠지지 않는다. 그는 한 가지의 고통, 즉 신체적인 고통은 느끼지만 정신적인 고통은 느끼지 않는다.(『쌍윳따니까야』 36:6, 『화살의 경』)  

 

보통 사람들은 괴로운 느낌에 접촉하면 신체적 고통에 더해 정신적 고통을 느낀다. 그러나 지혜로운 사람들은 괴로운 느낌에 접촉하면 그것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알아차리는 것에서 멈춘다. 붓다는 괴로운 느낌으로 인한 신체적 고통을 첫 번째 화살에, 신체적 고통에 덧붙여지는 정신적 고통을 두 번째 화살에 비유했다. 지혜로운 사람들이 첫 번째 화살만을 맞는 것에 비해 보통 사람들은 첫 번째 화살에 이어 두 번째 화살을 맞는다는 것이다.

 


정신적 고통의 뿌리, 탐·진·치 삼독
살아있는 한 첫 번째 화살은 누구도 피할 수 없다. 이와 달리 두 번째 화살은 겪을 수도 있고 겪지 않을 수도 있는 정신적 고통이다. 두 번째 화살은 신체적인 느낌에 덧붙여지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감정과 생각들이다. 불교는 이와 같이 정신적 고통을 낳는 마음의 작용을 특별히 번뇌라고 부른다. 번뇌는 우리의 마음을 산란하게 하고, 사태를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게 하며, 우리를 수동적이고 무력한 존재로 만들고, 생산적 역량을 감소시킨다. 두 번째 화살은 바로 그러한 번뇌들이다. 번뇌에 붙들려 버릴 때 우리는 필연적으로 두 번째 화살로 인한 괴로움을 겪게 된다.

 

일반 사람은 (…) 괴로운 느낌에 접촉되면 분노를 품게 된다. 그가 분노를 품게 될 때 분노의 잠재적 경향이 그에게 잠재된다. (…) 그가 감각적 쾌락의 즐거움을 찾을 때 즐거운 느낌에 대한 탐욕의 경향이 그에게 잠재된다. 그는 그러한 느낌들의 발생과 소멸, 유혹과 위험, 그리고 여읨에 관하여 있는 그대로 알지 못한다. 그것을 있는 그대로 알지 못할 때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에 대한 무지의 잠재적 경향이 그에게 잠재된다.(『쌍윳따니까야』 36:6, 『화살의 경』)


두 번째 화살은 탐욕, 분노 그리고 무지(어리석음)로 인한 괴로움이다. 이것을 탐(貪)·진(瞋)·치(癡) 삼독이라고 부른다. 즐거운 느낌, 괴로운 느낌,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이 일어날 때 보통 사람들은 그 느낌들에 대해 탐욕과 분노와 무지의 잠재적 경향, 즉 번뇌의 습기를 쌓아 나간다. 잠재적 경향은 습관과 패턴으로 반복된다. 괴로운 느낌이 일어나면 분노를 품고, 분노를 키운다. 즐거운 느낌이 일어나면 갈애를 느끼고, 갈망을 키운다. 느낌들은 무상하다. 조건이 갖추어지면 느낌도 생겨나고 조건이 사라지면 느낌도 사라진다. 그것을 있는 그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내게 일어난 무상한 느낌들을, 무상한 느낌들에 대한 습의 반복을 아무런 반성적 성찰 없이 곧바로 ‘나’라고, ‘나의 것’이라고 집착한다. 그럴 때 여지없이 우리는 스스로 불러들인 두 번째 화살에 맞는다.

부모님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나 역시 크게 다르지 않았다. ‘나’만 이런 일을 겪는 것처럼 비통해 하고, 세상에 ‘나’보다 더 가여운 사람이 없다는 듯이 자기연민에 빠지고, 비극의 주인공이 된 것처럼 ‘나’의 처지를 한탄하고, ‘나‘의 수고로움을 몰라주는 주변사람들을 원망했다. 갈팡질팡하는 ‘나’의 무능력을 탓하고 자책했다. 그러니 감정의 롤러코스터를 타는 두 번째 화살을 피할 수 없었다.

두 번째 화살은 이렇게 우리를 정신적 고통에 빠뜨릴 뿐만 아니라 자신이 처해있는 조건과 상황을 있는 그대로 살피지 못하게 한다. 한마디로 우리를 착란에 빠뜨려서 내 생각과 감정 외에는 보이는 것도 들리는 것도 없는 사람이 되게 한다. 상상이나 망상에 가까운 부적합한 관념과 그로 인한 정신적 괴로움의 노예가 된다. 두 번째 화살의 비유는 그런 속박된 마음의 메커니즘을 잘 보여준다.
  

두 번째 화살은 공부와 수행의 영역
두 번째 화살을 맞지 않으려면 번뇌가 일어나지 않게 하는 지혜와, 이미 번뇌가 일어났을 경우에는 그것을 알아차리고 멈출 수 있는 수행이 필요하다. 수행과 지혜를 길러 탐·진·치 삼독으로부터 벗어난 사람은 두 번째 화살을 맞지 않는다. 그러나 그가 아무 고통도 느끼지 못하는 죽은 나무토막 같은 존재가 되거나 감정이 메마른 냉정한 사람이라는 뜻은 아니다. 오히려 자신을 둘러싼 주변 사물들을 명징하게 인식하고 온갖 생명체와 사람들의 기쁨과 슬픔에 대해 더 예민한 감각을 갖고 풍부한 감정을 느끼지만 그의 마음의 평화가 흔들리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 번째 화살을 맞았지만 두 번째 화살로부터 자유로웠던 붓다를 통해서 그것을 알 수 있다.

80세의 노쇠한 붓다는 금세공사 쭌다가 공양한 음식을 먹고 혈변이 섞인 설사증세로 죽음의 문턱까지 갔다. 붓다 역시 늙음과 질병과 죽음이라는 첫 번째 화살을 피할 수 없었다. 그러나 그는 극심한 고통 속에서도 강한 선정과 삼매의 힘으로 평정을 유지했다. 붓다는 쭌다를 원망하는 것이 아니라 쭌다가 자신에게 공양한 일로 괴로워하거나 남들로부터 비난받을까 염려했다. 그는 쭌다를 위해 “열반 직전의 붓다에 대한 공양만큼 공덕이 큰 것은 없다”는 자비의 말을 남겼다.

사람이 모인 곳이다 보니 붓다를 따르는 수행자 공동체에서도 갈등과 불화가 그치지 않았다. 아무리 붓다라 해도 공동체적 삶 속에서 생겨나는 감정의 소용돌이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었다. 언젠가 우안거 중에 꼬삼비의 수행자들 사이에서 어떤 사람이 화장실 뒤처리를 제대로 하지 않은 문제를 둘러싸고 의견이 대립되었다. 이로부터 그들은 두 패로 나누어져 사사건건 서로를 비난하고 저주했다. 분노에 사로잡힌 이들의 귀에는 화합하라는 붓다의 조언이 들리지도 않았다. 붓다는 자신의 견해에 완고하게 사로잡혀 있는 사람들과 논쟁하지 않았다. 그는 꼬삼비를 떠나 홀로 숲으로 갔다. 붓다가 아니라 서로 내가 옳다며 다투는 수행자들에게 더 쉽게 감정이입이 되는 나는 이런 상황에서 숲에서 붓다가 누렸을 평정과 고요를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

 


첫 번째 화살의 비유에서 알 수 있듯이 불교는 괴로움을 삶의 불가피한 조건으로 파악한다. 첫 번째 화살이 우리가 어찌할 수 없는 필연성의 영역에 속한다면 두 번째 화살은 우리가 하기에 따라 피할 수도 있는 자유의 영역에 속한다. 두 번째 화살은 공부와 수행의 영역이다. 공부와 수행을 통해 우리는 첫 번째 화살의 필연성을 직시함으로써 두 번째 화살의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다. 붓다는 어떤 고통도 없는 삶이 아니라 고통을 마주하는 우리의 관점과 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고통에 속박되지 않는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을 가르쳤다.

그러니 지금 우리가 두 번째 화살을 맞고 괴로워하고 있다 해도 다행인 것은 이 괴로움이 우리를 영원히 얽매는 족쇄는 아닐 수 있다는 것이다. 비록 족쇄라 하더라도 언젠가는 풀 수 있는 족쇄이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그 족쇄를 완전히 풀지 못한다 해도 그 괴로움이 탐·진·치로부터 비롯되는 정신적 고통인 번뇌라는 것을 알고 지혜를 키우는 공부와 수행을 계속한다면 언젠가는 두 번째 화살을 뽑을 희망도 있지 않겠는가.

 

지혜로운 사람은 괴로운 느낌을 느끼더라도 속박을 여읜 상태에서 그것을 느낀다. 그는 즐거운 느낌을 느끼더라도 속박을 여읜 상태에서 그것을 느낀다. 그는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느끼더라도 속박을 여읜 상태로 그것을 느낀다. 이들을 태어남, 늙음, 죽음에서 여읜 자, 슬픔과 비탄과 고통과 불쾌와 절망에서 여읜 자, 괴로움에서 여읜 자라고 한다.(『쌍윳따니까야』 36:6, 『화살의 경』)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