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7/1122

뤼시앵 페브르, 『마르틴 루터 한 인간의 운명』- 자기 밖으로 나가기 뤼시앵 페브르, 『마르틴 루터 한 인간의 운명』자기 밖으로 나가기 내 고조할아버지 이야기다. 고조할아버지는 꽤 활동적이셨는지, 마을 다반사를 거의 도맡아 하셨다. 하지만 뭐든 많아지고 커지면 나쁜 일이 생기는 법. 몇 가지 일로 주변과 크게 다투게 되었다. 땅 문제가 꼬이면서 이웃친척들과 큰 사달이 나고 만 것이다. 그 사달이 도무지 해결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자, 급기야 할아버지는 야반도주를 감행한다. 그러나 급하게 도망쳐 나왔지만, 사실 그 즈음 갈 곳은 마땅치 않았다. 사방이 산과 바다로 막혀 있는 섬이라 섬 밖으로 나서는 것은 목숨을 거는 일이고, 더군다나 섬 공동체들의 네트워크는 매우 촘촘했기에 섬 안에서는 어디 도망가더라도 잡혀오기 십상이었다. 나오자마자 막다른 곳에 서 있는 셈이었다. 도무지.. 2017. 11. 14.
『친절한 강의 대학』 - 마음은 본래 허령한 것 『친절한 강의 대학』 - 마음은 본래 허령한 것 몸의 주인인 마음(心)은 그 본체가 원래 허령(虛靈)하여 한 사물에도 집착됨이 없다고 하네요. 마음을 본래 이러한 것으로 전제하면 분노, 우환 등의 감정은 치우침, 비정상이 됩니다. 마음의 작용, 이치를 살피는 데에 장애가 된다고 보게 되겠지요. 마음이 움직이는 그 순간부터 치우침이 없어야만 마음의 작용이 바르게 되고, 그래야만 마음의 본체가 바르게 유지될 테니까요. 한마디로 주자는 분노와 두려움, 좋아함과 근심, 지금 우리가 감정이라 하는 것들을 ‘성정지정’(性情之正), 마음이 정(正)한 상태가 아닌 비정상, 치우침으로 봅니다. 마음의 작용이 한쪽에 치우치고 매여 바름을 잃는다면 허령한 본체의 바름을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우응순, 『친절한 강의 .. 2017. 11. 13.
아기가 왔다, 그리고 먹는다, 아빠가 된다 아기가 왔다, 그리고 먹는다, 아빠가 된다 우리 딸이 이유식을 먹은 지 벌써 한 달이 다 되어간다. 맨 처음 쌀을 먹던 날, 아빠는 얼마나 긴장했는지 모른다. 200여일 아기를 돌보면서 가장 긴장되는 순간 중 하나였다. 어째서 그렇게 긴장했던 걸까. 생각해 보면, ‘아기’가 ‘사람’이라는 느낌이 희박해서 그랬던 것 같다. 엄마, 아빠와는 먹는 것도 다르고, 자고 일어나는 주기도 다르고, 아무 때나 울고, 싸고...... 팔, 다리, 눈, 코, 입을 빼곤 모두 다르니 그(녀)가 도무지 ‘동류’로 느껴지지 않았달까. 무조건적으로 돌봐주어야 하는, 어쩐지 엄청 귀엽고 사랑스러운 생명체이기는 했지만, 이 녀석이 ‘인간’이라는 걸, 게다가 내 자식이라는 걸 확실하게 알고 있음에도 실제 대할 때의 느낌은 ‘이게 정.. 2017. 11. 10.
면역체로서의 몸​ 면역체로서의 몸​ 신체(body)는 그것이 특별한 법적 자격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인격(person)에서 사물(thing)로 이동하는 수단이라고 이야기된다.법에서 신체처럼 많이 이야기된 것도 없다.신체는 이러한 두 차원들을 진동하며,인격에서 사물로 혹은 사물에서 인격으로의 이동을 가능케 한다. ─Roberto Esposito, 『Person and Things』 인격(person)과 개체적인 것 앞서 보았던 자유가 개체적인 것의 문제로, 소유형으로 접근되는 것은 특이한 발상이다. 능력으로서의 자유가 아니라 자유란 이제 선천적으로 개인에게 주어진 소유하는 권리가 된다. 하지만 이러한 권리를 당연히 가졌다고 선험적으로 상정되는 개체가 오히려 이상한 사고 아닐까? 이렇게 권리나 의무와 같은 무언가를 소유하고.. 2017.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