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순희5

피부가 건조한 계절, 회춘의 명약 - 경옥고 회춘의 명약, 경옥고 몇 년 전 제부(弟夫)가 80대인 장모님을 위한 보약이라며 경옥고를 사왔다. 보약이라는 말에 관심을 보이시던 어머니께서 인삼이 들어갔다는 설명이 이어지자 손사래를 치시며 절대 드시지 않겠단다. 그렇지 않아도 몸에 열이 많아 고생인데 웬 인삼이냐고 하시면서. 그러고 보니 복날에도 어머니는 인삼을 뺀 삼계탕을 드신다. 그때마다 나는 '앙꼬 없는 찐빵을 무슨 맛으로 먹느냐?'고 하면 '너도 한번 나처럼 몸이 후끈후끈해 보면 알 것이다.'고 말씀하신다. 나는 추위에는 매우 민감하지만 더위는 별로 타지 않는 편이라 그런 말씀을 하신 것이다. 인삼을 달여 먹어도 몸에 별 변화를 느끼지 못하는 나를 가리키며 어머니께서 “만날 추워하는 네가 먹어라.”고 말씀하시는 바람에 졸지에 경옥고를 먹게 되었.. 2013. 10. 4.
돈 많이 벌면 뭐하겠노? 기력 없다고 소고기 사묵겠지 사시사철 몸에 좋은 보양식, 소고기 기분 좋다고 소고기 사묵겠지 “돈 많이 벌면 뭐하겠노? 기분 좋다고 소고기 사묵겠지” 한동안 유행했던 개그 멘트다. 그런데 “돈 많이 벌면 뭐하겠노? 기분 좋다고 닭고기(혹은 돼지고기) 사묵겠지”라는 말은 하지 않는다. 왜 우리나라 사람들은 다른 고기에 비해 소고기를 특별한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을까? 농경사회에서 소는 염소나 돼지와 달리 단순한 가축이 아니라 농가의 많은 일을 담당하는 큰 일꾼이었다. 논밭에서 쟁기질을 하고 짐수레를 끄는 등 힘든 일을 도맡아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는 소를 잡아 식용으로 쓰기도 했지만, 오직 잡아먹기 위한 소의 사육은 매우 제한적이었다. 소가 낭떠러지에서 떨어지는 등 사고로 죽었거나 병들었을 경우에 관청의 허가를 받아서 도축하.. 2013. 8. 1.
비위(脾胃)가 약하다구요!? 백작약을 권합니다!! 수렴작용이 뛰어난 보혈약초, 백작약 온갖 꽃들이 지천인 계절이다. 그 중 작약 꽃은 주로 5-6월에 우리나라 산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들에서 재배되기도 하는 봄꽃이다. 작약은 그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백작약(白芍藥)과 적작약(赤芍藥) 두 종류가 있다. 백작약과 적작약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꽃의 색깔, 뿌리의 굵기, 뿌리껍질을 벗겼는지의 여부 등 여러 가지 설이 구구하나 이 글에선 논외로 하고, 그 효능에 따라 적작약은 사(瀉)하는 약, 백작약은 보(補)하는 약으로 보자. 같은 작약이지만 성질이 너무 다른 백작약과 적작약. 오늘의 주인공은 보혈약인 사물탕에 들어가는 백작약이다. 백작약은 금작약, 개삼 등 재밌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금작약은 이름 그대로 황금처럼 귀한 약재라는 뜻이다. 우리나라 약초꾼들은.. 2013. 5. 23.
십병구담(十病九痰)! 몸 속 습담을 뚫어주는 후박! 속이 더부룩하고 불편해요? 그럼 후박(厚朴)! 후박엿, 울릉도 호박엿의 원조라고? 수년 전 울릉도에 갔을 때 후박나무(우리나라에서는 일본목련을 후박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일본목련과는 다르다)를 본 적이 있다. 다른 곳에서도 스치듯 본적이 있었지만 직접 가까이에서 본 건 그 때가 처음이었던 것 같다. 녹색의 두터운 이파리들이 유난히 반짝이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나무껍질이 두터워 후박이라 불린단다. 한때 울릉도는 후박나무가 가장 흔한 곳이었다. 그런데 후박나무 껍질이 한약재로 쓰이면서 많은 사람들이 그것을 벗겨내는 바람에 인가 가까운 곳의 나무들은 더 이상 살지 못하고 죽고 말았단다. 즉 마을사람들이 엿을 고을 정도로 많았던 후박나무가 지금은 주로 벼랑 같은 험한 곳에서 볼 수 있을 정도로 .. 2013.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