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동아시아 역사책 읽기19

신라가 삼국 전쟁에서 승리한 까닭은? 병법을 뛰어넘는 전쟁기계 : 승리하거나 죽거나(2)신라가 삼국 전쟁에서 승리한 까닭은? 신라인의 호국의지 일부 역사학자들은 신라가 한민족에 대한 동류의식과 삼한일통(三韓一統)에 대한 염원을 가지고 한반도를 통일했다고 한다. 명분이 분명한 싸움이었다는 것이다. 글쎄? 한민족 동류의식이 삼한통일의 기저가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분명한 것은 신라는 고구려, 백제를 원수로 보았으며, 절치부심 두 나라를 물리치기 위해 당나라와 손잡았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이 삼국 전쟁을 통해 한반도는 다른 역사를 맞이했다는 사실이다. 7세기의 전쟁으로 한반도는 고대 문화에서 중세 보편주의 문화로 진입하게 되었다.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가 되면서 한반도는 중국이라는 중세의 보편주의 문화에 복속되었다. 당나라 문명, 아니 중국.. 2016. 11. 1.
김부식,『삼국사기』- 용병 흑치상지에 관한 랩소디 병법을 뛰어넘는 전쟁기계 : 승리하거나 죽거나(1) 삼국시대, 전쟁의 서사 시대 7세기의 한반도는 들끓었다. 신라, 고구려, 백제는 당나라, 일본, 돌궐, 말갈 등 동아시아 여러 나라들과 합종연횡하며 치열하게 전쟁을 치렀다. 신라는 승리하여 한반도를 통일했다. 백제와 고구려는 전쟁에 패배했고, 신라에 복속되었다. 백제는 660년, 고구려는 668년 멸망했다. 신라는 백제를 멸망시킨 뒤 약 8년여 동안 싸워서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영화 중에서 신라, 백제, 고구려 세 나라는 길고 긴 시간 동안 전쟁을 했다. 전쟁이 일상처럼 되었던 긴 시간, 승리했든 패배했든 싸움이 휩쓸고 지나간 자리엔 죽음과 피폐가 채워졌다. , 적어도 7세기까지의 기록에서 전쟁은 진정 예외상태가 아니라 정상 상태이고, 평화가 오히려 예.. 2016. 10. 18.
『삼국사기』 - 천인감응(天人感應)설의 역사 『삼국사기』: 천인감응(天人感應)설의 역사 우주라는 물리적 환경과 인간 사이에는 동시에 상호작용하는 감응력이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저 상고시대로부터 우주의 움직임와 인간의 행위 사이에서 일어나는 어떤 패턴을 주목하고 이를 체계화했던 것이다. 이런 원리를 정리한 것은 한나라 때 이후로, 동중서의 『춘추번로』, 『한서』의 「천문지」와「오행지」에서 논리화하였고, 당나라 고종 때는 『천지서상지』가 편찬되어 여러 문헌에 기술된 천지변화의 길흉화복을 총괄하였다. 별자리가 떨어져있는지, 붙어있는지, 침범하는지 등을 관찰하여 전쟁이 일어날지, 전쟁에서 승리하거나 패배할지, 반란이 일어날지 등을 예견했다. 붉은 기운이 불빛같이 나타나는 것은 신하가 군주를 배반할 징조이고, 금성과 토성과 화성이 궤도를 잃으면 전쟁이 나.. 2016. 10. 4.
『삼국사기』속의 천재지변, 그리고 왕과 나라의 운명 너무나 역사적인 사실들: 자연사와 인간사의 함수관계 #2 ❚ 천재지변과 왕의 죽음 자연은 인간생활에 직접 관계되기도 하지만, 왕의 죽음과 같은 인사(人事)를 천재지변으로 예시한다. 「신라본기」에는 왕의 죽음을 예고하는 이상한 기운들이 기술된다. 『삼국사기』 안에서 이런 것들은 역사적 사실이었다. “제왕이 장차 일어나려고 할 때 하늘은 반드시 상서로운 조짐을 백성들에게 보여주는”(「응동應同편」, 『여씨춘추』) 것처럼 왕이 죽기 직전에도 예사롭지 않은 조짐들이 몰아친다. 지금의 우리는 믿지 않는, 어렴풋한 비의로만 간직한 하늘의 예시와 조짐을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적어도 사실로서 인지했던 것이다. 우리가 역사의 영역에 넣지 않고 소설이나 야사의 영역에 넣는 사건이 역사적인 사실로 비중 있게 다뤄진다. * .. 2016.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