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미지황환2

음을 보충해 열을 다스리는 새로운 전략, 육미지황환 적을 온전하게 두고 승리하는 기묘한 비책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오후만 되면 얼굴에 열감이 오르는 증상이 있다. 이런 열감은 시도 때도 없이 들이 닥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시간에 조용히 찾아오며, 얼굴 전체를 붉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대체로 광대뼈 부근에 새악시 같은 홍조로 드러난다. 이런 열을 조열(潮熱)이라고 한다. 밀물과 썰물을 의미하는 조수(潮水)처럼 주기적으로 찾아온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열의 또 다른 별칭은 ‘허열(虛熱)’이다. 허(虛)는 실(實)과 음양으로 연결된다. 허열이 있다면 실열(實熱)도 있다. 실열은 잉여의 열기다. 감기로 인한 발열이 실열의 예가 된다. 외사(外邪)의 침입으로 인해 생긴 잉여의 열이 실열이라 할 수 있다. 허열은 남아도는 열이 아니다. 음(陰)과 양(陽)의 .. 2015. 6. 10.
내 몸의 부족한 음기를 채워주는 육미지황환 육미지황환, 정精을 부탁해! 귀는 신(腎)의 문(門) 네프론이 어쩌고, 보우만 주머니가 어쩌구 하면서 신장과 방광은 오줌을 만드는 기관이라고 배우던 고교시절, 대표적 입시생 증후군인 만성 두통과 소화불량으로 고생을 했다. 그래서 가끔 한의원에 갔다. 두통으로 가도, 소화불량으로 가도, 언제나 근본적으로 신장과 간이 약해서 그렇다고 하는 한의사를 보며 이분은 돌팔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도대체 두통과 소화불량이 신장, 간과 무슨 상관이 있다는 말인가 싶었던 것이다. 그런데 의역학 공부를 시작한 후 그렇게 말한 이유를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좀 뜬금없을지 몰라도 이것은 당구의 쓰리쿠션원리로 설명이 가능하다. 당시 선생님은 진맥이나 망진(몸이나 얼굴을 통해 드러나는 특성으로 진단), 문진(질.. 2013. 11. 29.